
ECOgreen환경교육연구소
대표자명 : 고은경
주소 : 54903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호성3길 14 (호성동1가) 3층
비영리 단체등록
아니오
예산(천원)
7,000
회원수
80
임원수
3명
직원수
1
설립목적
ECOgreen환경교육연구소는 환경교육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여 주민들이 환경 감수성을 함양하고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그 밖의 환경교육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연혁
2018년
8월- ECOgreen환경교육연구소 개설, 비영리임의 단체 등록
9월-클린순창 명품 청정 고을만들기 주민체감형 환경복지 지원사업
10월: 환경교육 학습공동체 시작, 전북 녹색환경지원센터 교육 연구비 지원
2019년
11월 교육 연구 거점 마련(전주시 덕진구 매봉로 40 경제과학진흥원 221호)
2020년
5월: 전북환경교육네트워크 교육연구 사업 참여(생태지도 만들기)
12월: 생태민주주의 영상제작 및 참여(전주시평생학습관 발주)
2021년
4월: 유아동 대상별 맞춤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업(전라북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협력)
10월: 탄소중립 강사양성과정 기획 및 참여(전주시 협력)
11월: 청소년 기후변화교실 교재연구(전북지속협 발주)
12월: 생태민주주의 영상제작 및 참여(전주시평생학습관 발주)
2022년
2월: 탄소중립 강사양성과정 심화 기획 및 참여(남원시와 공동 주관)
4월~12월 기후위기 생태전환 프로젝트( 화산초등학교, 완산여고, 호남고등학교,진안제일고등학교, 전북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
5월~8월 기후변화 강사양성과정 기획 및 참여(완주군 공동 주관)
11월: 생태민주주의 프로젝트 기획 및 운영(녹색환경지원센터 공동 주관)
12월: 탄소중립 실현 지속가능발전 교육 컨설팅 및 강사역량강화(전북지속협 발주)
2023년
3월: 자원순환 시민 전문가 양성 기획 및 운영(김제시, 김제 강살리기 추진단과 공동주관)
유아생태전환교육(1년 과정 운영)어린이집, 유치원
5월: 와글와글 환경프로젝트(전북지속협, 생명의숲공동주관)
5월~11월: 장수지역 초등학교 생태환경교육(장수교육지원청 발주)
8월: 장수군 생태지원단 새만금 탐방 장수교육지원청
9월~12월: 책으로 환경읽기(일반시민대상)
12월: 지역상상하기 생태전환 프로젝트(진안제일고, 호남고)
2024
1월: 임시 총회(대표: 고은경)
2월: 책으로 환경읽기(2월~12월) 일반시민
3월: 청소년 생태환경 프로젝트(40회기-전미지역아동센터, 장수지역아동센터)
3월~4월: 2기 김제시 자원순환 시민전문가 양성 기획 및 운영(김제시 공동 주관)
4월~12월: 주민참여 물관리교육(전북특별자치도, 전북강살리기추진단 사업 참여)
기후위기 환경교육(40개 학급: 남원교육지원청발주)
5월~10월: 와글와글 환경프로젝트(전북 지속협, 생명의 숲 공동 주관)
6월~11월: 생태환경교육(장수교육지원청 발주)
7월: 기후위기프로젝트-김제덕압중학교(김제 사회복지관 발주)
12월 : 환경위기 대응하는 지구생태시민 되기(정읍 호남고등학교, 진안 제일고등학교, 순창제일고등학교)
8월- ECOgreen환경교육연구소 개설, 비영리임의 단체 등록
9월-클린순창 명품 청정 고을만들기 주민체감형 환경복지 지원사업
10월: 환경교육 학습공동체 시작, 전북 녹색환경지원센터 교육 연구비 지원
2019년
11월 교육 연구 거점 마련(전주시 덕진구 매봉로 40 경제과학진흥원 221호)
2020년
5월: 전북환경교육네트워크 교육연구 사업 참여(생태지도 만들기)
12월: 생태민주주의 영상제작 및 참여(전주시평생학습관 발주)
2021년
4월: 유아동 대상별 맞춤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업(전라북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협력)
10월: 탄소중립 강사양성과정 기획 및 참여(전주시 협력)
11월: 청소년 기후변화교실 교재연구(전북지속협 발주)
12월: 생태민주주의 영상제작 및 참여(전주시평생학습관 발주)
2022년
2월: 탄소중립 강사양성과정 심화 기획 및 참여(남원시와 공동 주관)
4월~12월 기후위기 생태전환 프로젝트( 화산초등학교, 완산여고, 호남고등학교,진안제일고등학교, 전북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등)
5월~8월 기후변화 강사양성과정 기획 및 참여(완주군 공동 주관)
11월: 생태민주주의 프로젝트 기획 및 운영(녹색환경지원센터 공동 주관)
12월: 탄소중립 실현 지속가능발전 교육 컨설팅 및 강사역량강화(전북지속협 발주)
2023년
3월: 자원순환 시민 전문가 양성 기획 및 운영(김제시, 김제 강살리기 추진단과 공동주관)
유아생태전환교육(1년 과정 운영)어린이집, 유치원
5월: 와글와글 환경프로젝트(전북지속협, 생명의숲공동주관)
5월~11월: 장수지역 초등학교 생태환경교육(장수교육지원청 발주)
8월: 장수군 생태지원단 새만금 탐방 장수교육지원청
9월~12월: 책으로 환경읽기(일반시민대상)
12월: 지역상상하기 생태전환 프로젝트(진안제일고, 호남고)
2024
1월: 임시 총회(대표: 고은경)
2월: 책으로 환경읽기(2월~12월) 일반시민
3월: 청소년 생태환경 프로젝트(40회기-전미지역아동센터, 장수지역아동센터)
3월~4월: 2기 김제시 자원순환 시민전문가 양성 기획 및 운영(김제시 공동 주관)
4월~12월: 주민참여 물관리교육(전북특별자치도, 전북강살리기추진단 사업 참여)
기후위기 환경교육(40개 학급: 남원교육지원청발주)
5월~10월: 와글와글 환경프로젝트(전북 지속협, 생명의 숲 공동 주관)
6월~11월: 생태환경교육(장수교육지원청 발주)
7월: 기후위기프로젝트-김제덕압중학교(김제 사회복지관 발주)
12월 : 환경위기 대응하는 지구생태시민 되기(정읍 호남고등학교, 진안 제일고등학교, 순창제일고등학교)
중점활동분야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환경교육 연구 및 컨설팅, 환경교육 단체 네트워크 협력 및 홍보참여, 환경교육 교재 발간 등
주요사업
① 환경교육 연구 및 정보 제공 등의 활동
②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 양성
③ 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기획
④ 환경교육 관계 기관 및 연구소 등의 연구 기관과 시민 사회 단체와 제휴 및 협조
② 환경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도 양성
③ 환경교육 프로그램 운영 및 기획
④ 환경교육 관계 기관 및 연구소 등의 연구 기관과 시민 사회 단체와 제휴 및 협조
상세소개
ECOgree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이하EEERI) 연구소는 다영역간 협력, 다 학제간 융합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환경교육 연구, 정책, 프로그램 개발 및 컨설팅 등을 지원하는 는 단체입니다.
1. 연구소의 비전:
“공존共存, 공생共生의 생존 질서 회복을 위한 환경교육 지원”
2. 연구소의 지향점
: 앎, 삶, 함이 연계되는 생태 전환 교육
: 공생명과 공존을 이해하는 생태시민 교육
: 연결, 공동체, 주체적 행위가 있는 알아-차림 교육
3. 연구소의 목적
: 연구소는 지역에 있는 각 분야의 교육전문가들과 교육단체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 생태 시민을 양성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4. 연구소의 뱡향성
- 연구소는 환경교육 교재연구, 학술행사, 컨설팅, 생애주기별 환경교육 강의를 통한 양질의 환경교육 지원과 함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강사 양성 등을 통해 경력 단절 및 미 취업 고급인력의 사회 참여를 돕고자 합니다
- 연구소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지역민과 주변 환경과의 공존, 공생을 지원하여 앎, 함, 삶이 연계되어 행복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지역 공동체와 함께 방향을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5. 연구소의 조직
: 연구소 인적 조직은 대표 1인 선임 연구원 2인 비상근 실무 1인과 약 80 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2024년 비영리 민간단체로 도약하고자 임시 총회를 개최하고, 2025년 창립총회 준비 중).
1. 연구소의 비전:
“공존共存, 공생共生의 생존 질서 회복을 위한 환경교육 지원”
2. 연구소의 지향점
: 앎, 삶, 함이 연계되는 생태 전환 교육
: 공생명과 공존을 이해하는 생태시민 교육
: 연결, 공동체, 주체적 행위가 있는 알아-차림 교육
3. 연구소의 목적
: 연구소는 지역에 있는 각 분야의 교육전문가들과 교육단체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속 가능한 미래 생태 시민을 양성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4. 연구소의 뱡향성
- 연구소는 환경교육 교재연구, 학술행사, 컨설팅, 생애주기별 환경교육 강의를 통한 양질의 환경교육 지원과 함께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강사 양성 등을 통해 경력 단절 및 미 취업 고급인력의 사회 참여를 돕고자 합니다
- 연구소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지역민과 주변 환경과의 공존, 공생을 지원하여 앎, 함, 삶이 연계되어 행복한 사회가 될 수 있도록 지역 공동체와 함께 방향을 만들어 가고자 합니다.
5. 연구소의 조직
: 연구소 인적 조직은 대표 1인 선임 연구원 2인 비상근 실무 1인과 약 80 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2024년 비영리 민간단체로 도약하고자 임시 총회를 개최하고, 2025년 창립총회 준비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