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대표자명 : 김동필
전화번호 : 02-961-6547
홈페이지 : http://npcn.or.kr
주소 : 04025 서울 마포구 월드컵로3길 36 (합정동) 5층
비영리 단체등록
예
예산(천원)
162,000
회원수
963
임원수
11
직원수
3
설립목적
국립공원의 자연생태계와 아름다운 경관을 보존하여 우리 세대는 물론 우리의 아이들 역시 자유롭게 보고, 느끼고, 배우며 쉴 수 있는 곳으로 지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자연공원법 개정운동, 지역주민과의 지속가능한 보전방안 수립, 국립공원보호지역 확대, 미래세대를 위한 교육 등의 활동을 진행하여 각 부분마다의 정책과 현장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주요연혁
- 1993. 12. 28.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 창립
- 2002. 12. 0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환경부 제51호)
- 2005년 전문위원회, 재정홍보위원회 구성
- 2007년 (지역협력기관) 지리산사람들 창립
- 2002. 12. 04. 비영리민간단체 등록(환경부 제51호)
- 2005년 전문위원회, 재정홍보위원회 구성
- 2007년 (지역협력기관) 지리산사람들 창립
중점활동분야
- 국립공원 보존을 위한 홍보교육활동
- 국립공원 훼손실태 조사연구활동
- 국립공원 개발정책을 보존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한 감시활동
- 자연보전형 지역개발을 위한 대안제시활동
- 국립공원 보존을 위한 국제협력활동
- 국립공원 훼손실태 조사연구활동
- 국립공원 개발정책을 보존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한 감시활동
- 자연보전형 지역개발을 위한 대안제시활동
- 국립공원 보존을 위한 국제협력활동
주요사업
● 천연기념물 산양 떼죽음 대응 활동
- 설악산국립공원, DMZ일원 산양 떼죽음 발생 현장 모니터링, 산양보호센터 및 주민 협력 활동 진행
- 국회, 정부의 산양 떼죽음 방지 정책을 위한 시민 서명 캠페인 진행, 국정감사 대응
- 산양 ISSUE 발간(2024년 변화의시나리오 스폰서 지원 사업)
● 해양보호구역 바다숲 모니터링
- 국립공원 해양탐사단 파크다이브와 함께 해상국립공원, 해양보호구역에 조성된 바다숲 모니터링 및 해양 정화 활동 진행(연중)
- 바다생명이야기 바다숲 TALK 온오프라인 진행(2024. 4. 9. 개최)
- 시민과학자와 함께하는 바다숲 보전(가꾸기) 캠페인 진행(2024. 9. 4. ~ 5. 진행)
● 국립공원 정책포럼 개최
- 2030년까지 국가보호지역 30% 확대 가능한가?(2024. 3. 14. 개최)
-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관리실태 진단 및 야생동물 피해대책 방안 마련 토론회(2024. 9. 3. 개최)
●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사업 백지화 운동
- 양양오일장 선전전, 주민감사청구 등 케이블카주민대책위 공동 현장 대응 활동
- 설악산오색케이블카 백지화를 위한 설악산 정상행동 등 시민 참여 프로그램 운영
- 설악산국립공원, DMZ일원 산양 떼죽음 발생 현장 모니터링, 산양보호센터 및 주민 협력 활동 진행
- 국회, 정부의 산양 떼죽음 방지 정책을 위한 시민 서명 캠페인 진행, 국정감사 대응
- 산양 ISSUE 발간(2024년 변화의시나리오 스폰서 지원 사업)
● 해양보호구역 바다숲 모니터링
- 국립공원 해양탐사단 파크다이브와 함께 해상국립공원, 해양보호구역에 조성된 바다숲 모니터링 및 해양 정화 활동 진행(연중)
- 바다생명이야기 바다숲 TALK 온오프라인 진행(2024. 4. 9. 개최)
- 시민과학자와 함께하는 바다숲 보전(가꾸기) 캠페인 진행(2024. 9. 4. ~ 5. 진행)
● 국립공원 정책포럼 개최
- 2030년까지 국가보호지역 30% 확대 가능한가?(2024. 3. 14. 개최)
-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관리실태 진단 및 야생동물 피해대책 방안 마련 토론회(2024. 9. 3. 개최)
●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사업 백지화 운동
- 양양오일장 선전전, 주민감사청구 등 케이블카주민대책위 공동 현장 대응 활동
- 설악산오색케이블카 백지화를 위한 설악산 정상행동 등 시민 참여 프로그램 운영
상세소개
국립공원을지키는시민의모임(이하 국시모)은 1993년 창립 이후 국립공원 보전운동의 최전선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덕유산국립공원 1997 동계 유니버시아드 개최 반대, 가야산국립공원 해인골프장 건설 저지, 북한산국립공원 관통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반대, 현재까지 추진 중인 설악산국립공원 케이블카 및 흑산공항 사업 백지화운동 등이 대표적인 활동입니다. 한반도 자연생태계 마지막 보루인 국립공원을 지키기 위해 지역사회와 함께 국립공원 보전이라는 전문적인 핵심 전문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주요하게 법·제도 개선운동, 보전을 위한 교육·문화 활동, 훼손실태 조사·연구, 대규모 개발 반대, 자연보전형 지역개발을 위한 대안제시, 국내·외 연대활동 등의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활동을 기반으로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네트워크 구축과 전문가 및 지역사회와의 협력체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