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명평화마을자치전국민회
대표자명 : 임진철
전화번호 : 031-511-7706
홈페이지 : https://npa21.kr/
주소 : 12237 경기 남양주시 금곡로 68 (금곡동) 2층(좌측)
비영리 단체등록
아니오
예산(천원)
40,000,000
회원수
308
임원수
5
직원수
2
설립목적
직접민주마을자치 전국민회는 직접민주주의 실현과 풀뿌리 마을자치활동, 생명살림과
평화살이, 자치분권과 협동연대사회, 생활정치 등의 구현을 바탕으로 마을자치정부를
건설하고 지방자치분권과 국가균형발전 그리고 마을연방민주공화국 기반구축을 위한
의제 발굴과 그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평화살이, 자치분권과 협동연대사회, 생활정치 등의 구현을 바탕으로 마을자치정부를
건설하고 지방자치분권과 국가균형발전 그리고 마을연방민주공화국 기반구축을 위한
의제 발굴과 그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주요연혁
2021년 3월 20일(토)
직접민주주의마을공화국 전국민회 준비위원회 발족식
(경기도 양평 두물머리 생태학교)
2022년 10월 23일(토)
직접민주주의마을공화국 전국민회 창립식(전남 함평 민예학당)
2021년 11월 - 2023년 1월
2021년 11월 10일 부터 2023년 1월 26일
매주 수요일 대전환을 위한 상상과 모색 아카데미 개설.
2022년 2월 - 5월
청년학교 개설
2022년 11월 25-26일
전국민회 4차 운영위원회 및 집담회
2023년 2차 총회 2월14일 영광 집담회
2024년 3차 총회 2월23일 홍성 집담회
2025년 4차 총회 3월14일 남양주 집담회
2025년 4차총회에서 직접민주마을자치전국민회를 생명평화마을자치전국민회로 단체명 지정
직접민주주의마을공화국 전국민회 준비위원회 발족식
(경기도 양평 두물머리 생태학교)
2022년 10월 23일(토)
직접민주주의마을공화국 전국민회 창립식(전남 함평 민예학당)
2021년 11월 - 2023년 1월
2021년 11월 10일 부터 2023년 1월 26일
매주 수요일 대전환을 위한 상상과 모색 아카데미 개설.
2022년 2월 - 5월
청년학교 개설
2022년 11월 25-26일
전국민회 4차 운영위원회 및 집담회
2023년 2차 총회 2월14일 영광 집담회
2024년 3차 총회 2월23일 홍성 집담회
2025년 4차 총회 3월14일 남양주 집담회
2025년 4차총회에서 직접민주마을자치전국민회를 생명평화마을자치전국민회로 단체명 지정
중점활동분야
기후위기 대응과 지구적 연대
△ 탈핵과 지역중심의 에너지 전환
△ 탄소제로화와 ESG리더 육성
△기후위기 및 직접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국제연대를 집중적으로 진행
직접민주 마을자치활성와
△ 혁신적 주민자치의 강화 및 읍면동장 주민선출
△ 시민직접참여를 통한 사법, 언론개혁
△ 국민총행복권(GHP)의 도입과 강화를 중점적으로 추진
△ 탈핵과 지역중심의 에너지 전환
△ 탄소제로화와 ESG리더 육성
△기후위기 및 직접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국제연대를 집중적으로 진행
직접민주 마을자치활성와
△ 혁신적 주민자치의 강화 및 읍면동장 주민선출
△ 시민직접참여를 통한 사법, 언론개혁
△ 국민총행복권(GHP)의 도입과 강화를 중점적으로 추진
주요사업
읍.면.동 지역단위와 수계,산계지역단위 민회 조직화와 수평적 전국민회 네트워크 구축.
읍.면.동 지역단위와 수계,산계지역단위 자치와 협동, 생태와 평화의제 발굴과 구현.
직접민주주의 시민정치와 주민자치, 생명평화자치협동연대를 내용으로 하는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과 마을대학 개설, 숙의토론과 집단지성 공진화 기반의 마을공화국 자치리더십 육성.
마을민주주의와 주민자치기본법 제정활동 등 제도 개선활동, 직접민주주의와 만민토지평등권 쟁취 헌법 개정활동.
마을자치와 협동연대 활동 사례발굴과 지역혁신과 발전을 위한 연구, 마을공화국 시스템 구축과 모델 개발.
읍.면.동 지역단위 다양한 민본경제모델 개발과 전국 3,500개 읍면동 확산
오프라인 전국민회 플랫폼과 온라인 지역공동체앱의 연동을 통한 ‘직접민주주 마을공화국전국민회’ 플랫폼 구축 및 대중화.
지역사회의 혁신과 발전을 위한 민.관.정 협력 및 정책제안.
생명평화 자치협동연대 관련 국정(도정,시군정 포함)의 주요 과제에 대한 세미나 공동개최를 통한 민회의 지향점의 체계화와 공유작업.
주민자치 마을공화국건설과 자치분권,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제반 연대활동.
읍.면.동 지역단위와 수계,산계지역단위 자치와 협동, 생태와 평화의제 발굴과 구현.
직접민주주의 시민정치와 주민자치, 생명평화자치협동연대를 내용으로 하는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과 마을대학 개설, 숙의토론과 집단지성 공진화 기반의 마을공화국 자치리더십 육성.
마을민주주의와 주민자치기본법 제정활동 등 제도 개선활동, 직접민주주의와 만민토지평등권 쟁취 헌법 개정활동.
마을자치와 협동연대 활동 사례발굴과 지역혁신과 발전을 위한 연구, 마을공화국 시스템 구축과 모델 개발.
읍.면.동 지역단위 다양한 민본경제모델 개발과 전국 3,500개 읍면동 확산
오프라인 전국민회 플랫폼과 온라인 지역공동체앱의 연동을 통한 ‘직접민주주 마을공화국전국민회’ 플랫폼 구축 및 대중화.
지역사회의 혁신과 발전을 위한 민.관.정 협력 및 정책제안.
생명평화 자치협동연대 관련 국정(도정,시군정 포함)의 주요 과제에 대한 세미나 공동개최를 통한 민회의 지향점의 체계화와 공유작업.
주민자치 마을공화국건설과 자치분권,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제반 연대활동.
상세소개
2025년 3월14일 제 4차총회 남양주 집담회엥서
직접민주마을자치전국민회를 생명평화마을자치전국민회로 단체명 지정
생태전화마을로 전환 및 풀뿌리 마을자치활동, 생명살림과 평화살이, 자치분권과 협동연대사회, 생활정치 등의 구현을 바탕으로 마을자치를 실현하고 기반구축을 위한 의제 발굴과 그 실현을 추진한다
직접민주마을자치전국민회를 생명평화마을자치전국민회로 단체명 지정
생태전화마을로 전환 및 풀뿌리 마을자치활동, 생명살림과 평화살이, 자치분권과 협동연대사회, 생활정치 등의 구현을 바탕으로 마을자치를 실현하고 기반구축을 위한 의제 발굴과 그 실현을 추진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