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시민자치문화센터
대표자명 : 이승희
전화번호 : 02-770-7707
홈페이지 : https://civichub.net/
주소 : 03708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 81-9 (연희동) 3층
비영리 단체등록
예
예산(천원)
회원수
20
임원수
5
직원수
5
설립목적
우리 사회의 문화 역량과 창조성을 높이고, 문화의 사회적 공공 성을 확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설립한 비영리 사단법인체입니다. 우리 는 현재 생태ᆞ문화ᆞ사회의 위기에 대응하며 문화적 대안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민간 씽크탱크 역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기후위기와 과밀도시의 문제를 생태적 생활양식(문화)의 관점에서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솔루션을 고안하고, 실행과정에서 공공ᆞ비영리ᆞ영리 영역의 다 양한 주체들과 협업하고 있습니다.
주요연혁
2022년 공익법인 지정 (기획재정부 고시 제2022-8호)
2019년~2021년 서울로7017 수탁 운영 (서울시)
2021년 서울새활용플라자 프로그램 수탁 운영 (서울디자인재단)
2018년 제2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프로그램 수탁 운영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년~2021년 서울로7017 수탁 운영 (서울시)
2021년 서울새활용플라자 프로그램 수탁 운영 (서울디자인재단)
2018년 제2서울창의예술교육센터 프로그램 수탁 운영 (서울특별시교육청)
중점활동분야
기후위기 캠페인&커뮤니케이션, 축제 탄소중립 모니터링, 생태적 문화예술정책 연구
주요사업
1. 기후위기대응 프로젝트
① 키후위키 프로젝트
- 다양한 주체들과 협업하여 메시지를 만들고 캠페인을 벌이며 ‘기후시민’을 확대하고, 네트워크 구축
- 생태문화적인 캠페인 도구와 방법의 확장
② 그린피겨스 모니터링 그린피겨스
- 지속가능한 축제를 위한 모니터링 툴킷
- 축제의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며, 실무 가이드와 체크리스트, 사례 등을 제공
2. 지역연계 협력활동
- 성북․고창 지역문화생태계 활동 관련 시민자치 역량과 자율적 활동 환경 마련
- 지역문화운동과 생태․역사 문화운동 관련하여 예술가, 문화연구자, 문화기획자, 문화활동가 주체 발굴과
협력 활동 활성화
3. 고령사회대응 활동-이야기청
- 지역․커뮤니티와 문화(생태․예술․스포츠)를 매개로 나이듦, 세대 간 협력 등에 대한 대안적인 공간 운영과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문화 돌봄 관련 프로그래밍 : 마을과 예술 기반 사회적 돌봄 프로그램 기획과 모델링
① 키후위키 프로젝트
- 다양한 주체들과 협업하여 메시지를 만들고 캠페인을 벌이며 ‘기후시민’을 확대하고, 네트워크 구축
- 생태문화적인 캠페인 도구와 방법의 확장
② 그린피겨스 모니터링 그린피겨스
- 지속가능한 축제를 위한 모니터링 툴킷
- 축제의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해 정량적 데이터를 활용하며, 실무 가이드와 체크리스트, 사례 등을 제공
2. 지역연계 협력활동
- 성북․고창 지역문화생태계 활동 관련 시민자치 역량과 자율적 활동 환경 마련
- 지역문화운동과 생태․역사 문화운동 관련하여 예술가, 문화연구자, 문화기획자, 문화활동가 주체 발굴과
협력 활동 활성화
3. 고령사회대응 활동-이야기청
- 지역․커뮤니티와 문화(생태․예술․스포츠)를 매개로 나이듦, 세대 간 협력 등에 대한 대안적인 공간 운영과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문화 돌봄 관련 프로그래밍 : 마을과 예술 기반 사회적 돌봄 프로그램 기획과 모델링
상세소개
시민자치문화센터는 우리 사회의 문화 역량과 창조성을 높이고, 문화의 사회적 공공성을 확대하는 데 목적을 두고 설립한 비영리 사단법인체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문화는 정치 · 경제 · 사회의 영역에서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안내하고, 협동과 조정을 통해 공유하는 가치 및 의미의 체계로서의 문화입니다. 우리가 문화에서 가치있게 생각하는 것은 일상성, 창의성, 연대성, 주체성, 자율성, 커뮤니티입니다.
법인은 현재 생태 · 문화 · 사회의 위기에 대응하며 문화적 대안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민간 씽크탱크 역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기후변화 · 과밀도시 · 고령사회의 문제를 대안적인 라이프스타일의 관점에서 해결해나갈 수 있는 솔루션을 고안하고, 실행과정에서 공공 · 비영리 · 영리 영역의 다양한 주체들과 협업하고 있습니다.
법인의 주요 목적사업 분야로는 ➊ 문화예술을 통한 도시의 재구성, ➋ 다양성과 공통감각에 기초한 새로운 시민문화 만들기, ➌ 대안적인 제작(메이커)문화‧지역문화‧생태문화 확산, ➍ 협력적 창의성을 기르는 문화예술교육 등이 있습니다.
법인은 현재 생태 · 문화 · 사회의 위기에 대응하며 문화적 대안을 연구하고 제안하는 민간 씽크탱크 역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기후변화 · 과밀도시 · 고령사회의 문제를 대안적인 라이프스타일의 관점에서 해결해나갈 수 있는 솔루션을 고안하고, 실행과정에서 공공 · 비영리 · 영리 영역의 다양한 주체들과 협업하고 있습니다.
법인의 주요 목적사업 분야로는 ➊ 문화예술을 통한 도시의 재구성, ➋ 다양성과 공통감각에 기초한 새로운 시민문화 만들기, ➌ 대안적인 제작(메이커)문화‧지역문화‧생태문화 확산, ➍ 협력적 창의성을 기르는 문화예술교육 등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