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전환지원재단

생태전환지원재단 통합검색
검색하시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 후 검색 버튼을 누르시면 관련 데이터가 결과로 출력 됩니다.
검색 결과가 없을경우 다른 키워드를 입력하시고, 결과 리스트가 있을경우 클릭하시면 해당 컨텐츠로 상세보기가 진행됩니다.
통합검색은 전체 결과를 조회하여 얻어지는 결과 이므로 해당 카테고리에서 찾으시면 보다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에 제안하는 탈핵‧에너지 국정과제 반영 촉구 기자회견

  • 분류 : 기타

  • 주최/주관 : 밀양청도송전탑반대대책위원회, 영광한빛핵발전소영구폐쇄를위한원불교대책위, 종교환경회의, 천주교광주대교구정의평화위원회, 탈핵부산시민연대, 한빛핵발전소대응호남권공동행동 (가나다순)

  • 문의처 : 010-9124-9030

  • 일자 : 2025-07-07진행전

  • 시간 : 11:00

  • 파트너 : 생명평화탈핵순례단

  • URL 복사
2030년까지 설계수명이 도달하는 핵발전소는 전국에서 총10기입니다. (고리2호기, 한빛1·2호기, 한울1·2호기, 고리3·4호기, 월성2·3·4호기)
노후 핵발전소의 수명을 연장하게 되면, 핵발전소의 안전성 문제,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 문제 등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다양한 사회적 갈등과 막대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2024년 9월부터 송전망 포화 대책의 일환으로, 2031년 12월까지 신재생에너지의 계통 연계를 제한한 반면, 한빛 1,2호기, 고리2호기 등 노후핵발전소 수명연장 절차는 졸속으로 강행했습니다.

노후 핵발전소 운영을 중단할 경우, 단순 산술적으로 2030년까지 약 8.5GW 규모의 송전선로 여유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신규 송전망 구축에 따른 사회갈등을 해소할 수 있고, 건설비용 뿐만 아니라 송전탑 건설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공약실현 기반 마련, 노후핵발전소 수명 연장에 따른 고준위핵폐기물 문제의 심화 방지, 중대 핵사고 위험성과 수명 연장 과정의 부당성 해소 등 많은 문제들을 해소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재명 정부 국정기획위원회가 노후핵발전소 수명연장 불허를 국정과제로 채택할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과 간담회를 진행합니다.
목록보기 
환경부
오대산환경포럼
종교환경회의
한국환경회의
국세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