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에너지취약계층 실태조사 세대 방문 활동
- 기 간: 2025년 8월 4일 ~ 9월 5일 (약 1개월간)
- 대 상 : 서구 지역 내 에너지 취약계층(독거노인) 100가구
- 조사자 : 전문화 된 에너지복지활동가 양성교육을 수료한 생활지원사 20여명
- 조사방법: 현장방문하여 조사지와 어플을 활용한 에너지실태조사 진행,
리플렛을 활용한 올바른 에너지사용법 교육,
절전멀티탭 설치,
에어컨필터 및 선풍기 청소 진행
2. 데이터 취합 및 분석
- 전문가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책 제안으로 활용
- 올해 제정된 대전 에너지 복지조례의 개정을 위한 자료 활용
3. 환경센서 부착
- 대상자 동의하에 30가구 환경센서(온도, 조도, 습도, 실내공기질 등 10가지 항목) 부착
하여 24시간 모니터링 진행
- 객관적인 데이터로 활용 및 추후 에너지 효율개선 사업 진행 시 사업의 효과성 파악
4. 조사자 대상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개선 지원 사업’ 연계
- 효율개선 사업 업체에 연계하여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5. 추후 활동
- 성과공유회 및 조례 개정 정책 제안
- 언론 보도를 통해 지역 확산 (*지역방송 촬영)
- 기 간: 2025년 8월 4일 ~ 9월 5일 (약 1개월간)
- 대 상 : 서구 지역 내 에너지 취약계층(독거노인) 100가구
- 조사자 : 전문화 된 에너지복지활동가 양성교육을 수료한 생활지원사 20여명
- 조사방법: 현장방문하여 조사지와 어플을 활용한 에너지실태조사 진행,
리플렛을 활용한 올바른 에너지사용법 교육,
절전멀티탭 설치,
에어컨필터 및 선풍기 청소 진행
2. 데이터 취합 및 분석
- 전문가를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책 제안으로 활용
- 올해 제정된 대전 에너지 복지조례의 개정을 위한 자료 활용
3. 환경센서 부착
- 대상자 동의하에 30가구 환경센서(온도, 조도, 습도, 실내공기질 등 10가지 항목) 부착
하여 24시간 모니터링 진행
- 객관적인 데이터로 활용 및 추후 에너지 효율개선 사업 진행 시 사업의 효과성 파악
4. 조사자 대상 ‘저소득층 에너지 효율 개선 지원 사업’ 연계
- 효율개선 사업 업체에 연계하여 실질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
5. 추후 활동
- 성과공유회 및 조례 개정 정책 제안
- 언론 보도를 통해 지역 확산 (*지역방송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