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전환지원재단

생태전환지원재단 통합검색
검색하시고자 하는 단어를 입력 후 검색 버튼을 누르시면 관련 데이터가 결과로 출력 됩니다.
검색 결과가 없을경우 다른 키워드를 입력하시고, 결과 리스트가 있을경우 클릭하시면 해당 컨텐츠로 상세보기가 진행됩니다.
통합검색은 전체 결과를 조회하여 얻어지는 결과 이므로 해당 카테고리에서 찾으시면 보다 더 정확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에너지정의 쟁점 토론회①] “AI 전력 수요, 핵발전 확대가 답인가?” 성료

  • 작성자 이영경
  • 등록일 2025.05.19
  • 조회수 4
  • 단체명 에너지정의행동
  • 세부정보 바로가기
  • 대표자 이영경
  • 연락처 02-702-4979
[에너지정의 쟁점 토론회①] “AI 전력 수요, 핵발전 확대가 답인가?” 성료 [에너지정의 쟁점 토론회①] “AI 전력 수요, 핵발전 확대가 답인가?” 성료 [에너지정의 쟁점 토론회①] “AI 전력 수요, 핵발전 확대가 답인가?” 성료
AI 전력수요를 위해 핵발전을 늘려야한다는 대선 후보들의 공약이 정의롭지 못하다는 발표가 나왔다. 에너지정의행동은 14일 오후 3시 명동 가톨릭회관에서  토론회를 열어 “전력수요가 폭증하고는 있지만, 이는 부풀려진 수요이며, 핵발전 신구 건설과 SMR 개발로는 전력이 필요한 시기를 맞출 수 없을 뿐 아니라, 송전망 확보도 불가능하다며 전력 규제와 기후한계를 생각한 데이터센터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핵발전을 늘리겠다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공약을 정면으로 반박한 것이다. 

토론회 첫번째 발제를 맡은 이헌석 에너지정의행동 정책위원은 "인공지능 확산으로 전력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지만 chatGPT 열풍이후 지나친 전력수요 예측과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며 전력수요 불확실성과 11차 전력계획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 그는 "핵발전은 10년에 걸친 건설기간으로 인해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힘들다"며 재생에너지와 BESS, 향후 좌초자산화 될 LNG 발전을 통해 인공지능 전력수요에 대응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발제를 맡은 김병권 ‘AI와 기후의 미래’ 저자는 데이터센터를 규제한 동아시아와 중국, 독일, 아일랜드 등의 사례를 들면서 “다른 국가들은 녹색규제와 지역분산 등을 이루기 위한 정책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기후를 위한 데이터센터 규제 필요성을 말했다. 특히 “디지털 과소비가 문제라며 생태전환과 기후대응을 위해서는  ‘녹색AI’ 넘어 ‘기후한계안의  AI’를 위한 효율화와 규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발제에 이어 토론자들 역시 늘어나는 AI와 데이터센터와 대응 방향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지현영 녹색전환연구소 부소장은 “정부가 인공지능의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평가하면서 균형 잡힌 방안이 마련해야 한다”면서, Re100 데이터센터를 구현과 인공지능기본법 개정, 녹색AI를 지원할 녹색산업정책 도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어 김선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위원은 “11차 전기본 수요의 과다 추정 가능성을 재검토하고 재생에너지와 BESS 중심의 발전원 구성이 필요하다”는 점과 “SMR과 원자력은 단기 대안이 될 수 없으며, 전력망 보강과 대규모 재생에너지(해상 풍력) 확보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김현정 경기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은 “데이터센터가 가장 집중된 경기도에서는 고압선 지중화 및 송전망 건설을 둘러싼 갈등이 행정소송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면서 “데이터센터의 재생에너지 연계 입지 분산 정책과 지역형 전력망 및 에너지 저장장치 구축 확대 등 지역 기반 분산에너지 체계를 수립”할 것을 요구했다.

이번 토론회를 준비하고 좌장을 맡은 이영경 에너지정의행동 사무국장은 “김문수 후보와 이재명 후보 모두 윤석열표 원전 최강국을 이어가려고 한다”면서 “AI 산업에 대한 기대를 부풀려 우리 사회 위험과 지역 희생을 강요하는 정책으로 이어져서는 안되며, 경제와 안전을 위해서도 정의로운 기후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전했다. 

자세한 내용은 에너지정의행동 유튜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youtube.com/live/oQ5WZ1X-HMY?feature=share)
  • URL 복사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댓글 남기기
한국환경회의
오대산환경포럼
환경부
국세청
종교환경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