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백로와 백로 서식지에 대해 알아보기
- 일정: 4/14(월) 오후 1시 ~ 3시
- 장소: 상지대학교
- 강사: 기경석 상지대학교 교수
- 강의 내용
1) 한국 백로 집단번식지의 현황과 변화 탐구
2) 백로류 종별 설명 및 유사종 비교 학습
3) 우리 동네 백로는 안녕한가요? (원주시 호저면 백로 서식지 현황)
4)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시민과학자 활동 계획 관련 의견 공유)
2. 시민과학자 활동 안내
- 일정: 4/14(월) 오후 3시 ~ 4시
- 장소: 상지대학교
- 내용
1) 시민과학자란 무엇인가요?
2) 우리는 어떤 활동을 하게 되나요?
3) 정기 현장조사 일정 잡기
3. 백로 서식지 현장조사 1회차
- 일정: 4/23(수) 오전 9시 ~ 오후 12시
- 장소: 원주시 호저면 백로 서식지 일대
- 강사: 최세준 국립공원연구원
- 강의 내용
1) 백로류의 행동 패턴, 백로류를 동정하는 방법
2) 망원경, 필드스코프 등 관찰 도구를 잘 쓰는 방법
3) 현장에서 도감을 활용하는 방법
4) 먹이터 조사의 중요성 및 현장조사 방법, 조사 에티켓
5) 현장조사 계획 관련 의견 공유
"연구원님의 강의를 들으며 망원경을 보는 방법과 도감을 찾는 방법 같은 기초지식부터 백로들의 행동 패턴, 서식지 특징, 조사 에티켓 등등을 익힐 수 있었어요.
백로들의 일상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고성능 망원경을 사용해 멀리서 관찰했는데요.
번식기 때만 볼 수 있다는 장식깃과 각 새를 동정하는 주요 특징인 부리와 날개를 자세히 볼 수 있었구요.
둥지에 앉아서 쉬거나 혹은 잠시 비행하고 오거나 하는 행동들도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더라구요.
그렇게 조금씩 백로와 친해져보는 시간이었어요."
4. 백로 서식지 현장조사 2회차
- 일정: 4/27(일) 오전 9시 ~ 오후 12시
- 장소: 원주시 호저면 백로 서식지 일대
- 내용
1) 백로의 주 서식지 관찰 및 종별 개체 수 세기
2) 먹이터 조사 위한 원주천 코스 짜기(상류-중류-하류)
3) 야장을 작성하는 방법 숙지하기
4) 다함께 전체 코스를 돌면서 먹이터 조사방법 숙지하기
"가장 먼저 학마을에 있는 백로의 주 서식지를 관찰했습니다. 중대백로/왜가리 등을 구분하고 종별 개체 수가 몇인지 세보았어요.
다음으로는 원주천의 상류-중류-하류를 따라 백로의 먹이처를 조사했는데요.
백로가 먹이활동을 하고 있는 곳의 GPS 상의 위치, 서식지 특성, 같은 구간 내 다른 종의 새 등을 작성했습니다.
이걸 “야장”이라고 부르더라구요.
오늘은 야장이 처음인 만큼 모든 인원이 전체 코스를 다 같이 돌면서 숲학교장님의 안내에 따라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5. 백로 서식지 현장조사 3회차
- 일정: 4/30(수) 오전 9시 ~ 오후 12시
- 장소: 원주시 호저면 백로 서식지 일대
- 내용
1) 백로의 주 서식지 관찰 및 종별 개체 수 세기
2) 세 팀으로 나누어 먹이터 조사하기
3) 야장 쓰기, 맵핑하기, 사진 찍기 등 데이터 기록하기
"오늘은 세 팀으로 나눠서 코스별로 다녀보았는데요!
벌써 새들이 조금씩 눈에 익기 시작했고 또 천천히 걸으면서 살펴본 덕분인지 백로와 왜가리 외에 다른 새들도 많이 만날 수 있었어요 :)
특히 검은댕기해오라기를 발견하고 정말 기뻤답니다!
야장 쓰기, 맵핑하기, 사진 찍기 등 시민과학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꽤나 능숙해졌어요.
과연 저희의 데이터가 어떻게 의미있는 연구결과로 탄생할지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
- 일정: 4/14(월) 오후 1시 ~ 3시
- 장소: 상지대학교
- 강사: 기경석 상지대학교 교수
- 강의 내용
1) 한국 백로 집단번식지의 현황과 변화 탐구
2) 백로류 종별 설명 및 유사종 비교 학습
3) 우리 동네 백로는 안녕한가요? (원주시 호저면 백로 서식지 현황)
4)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시민과학자 활동 계획 관련 의견 공유)
2. 시민과학자 활동 안내
- 일정: 4/14(월) 오후 3시 ~ 4시
- 장소: 상지대학교
- 내용
1) 시민과학자란 무엇인가요?
2) 우리는 어떤 활동을 하게 되나요?
3) 정기 현장조사 일정 잡기
3. 백로 서식지 현장조사 1회차
- 일정: 4/23(수) 오전 9시 ~ 오후 12시
- 장소: 원주시 호저면 백로 서식지 일대
- 강사: 최세준 국립공원연구원
- 강의 내용
1) 백로류의 행동 패턴, 백로류를 동정하는 방법
2) 망원경, 필드스코프 등 관찰 도구를 잘 쓰는 방법
3) 현장에서 도감을 활용하는 방법
4) 먹이터 조사의 중요성 및 현장조사 방법, 조사 에티켓
5) 현장조사 계획 관련 의견 공유
"연구원님의 강의를 들으며 망원경을 보는 방법과 도감을 찾는 방법 같은 기초지식부터 백로들의 행동 패턴, 서식지 특징, 조사 에티켓 등등을 익힐 수 있었어요.
백로들의 일상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고성능 망원경을 사용해 멀리서 관찰했는데요.
번식기 때만 볼 수 있다는 장식깃과 각 새를 동정하는 주요 특징인 부리와 날개를 자세히 볼 수 있었구요.
둥지에 앉아서 쉬거나 혹은 잠시 비행하고 오거나 하는 행동들도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더라구요.
그렇게 조금씩 백로와 친해져보는 시간이었어요."
4. 백로 서식지 현장조사 2회차
- 일정: 4/27(일) 오전 9시 ~ 오후 12시
- 장소: 원주시 호저면 백로 서식지 일대
- 내용
1) 백로의 주 서식지 관찰 및 종별 개체 수 세기
2) 먹이터 조사 위한 원주천 코스 짜기(상류-중류-하류)
3) 야장을 작성하는 방법 숙지하기
4) 다함께 전체 코스를 돌면서 먹이터 조사방법 숙지하기
"가장 먼저 학마을에 있는 백로의 주 서식지를 관찰했습니다. 중대백로/왜가리 등을 구분하고 종별 개체 수가 몇인지 세보았어요.
다음으로는 원주천의 상류-중류-하류를 따라 백로의 먹이처를 조사했는데요.
백로가 먹이활동을 하고 있는 곳의 GPS 상의 위치, 서식지 특성, 같은 구간 내 다른 종의 새 등을 작성했습니다.
이걸 “야장”이라고 부르더라구요.
오늘은 야장이 처음인 만큼 모든 인원이 전체 코스를 다 같이 돌면서 숲학교장님의 안내에 따라 학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5. 백로 서식지 현장조사 3회차
- 일정: 4/30(수) 오전 9시 ~ 오후 12시
- 장소: 원주시 호저면 백로 서식지 일대
- 내용
1) 백로의 주 서식지 관찰 및 종별 개체 수 세기
2) 세 팀으로 나누어 먹이터 조사하기
3) 야장 쓰기, 맵핑하기, 사진 찍기 등 데이터 기록하기
"오늘은 세 팀으로 나눠서 코스별로 다녀보았는데요!
벌써 새들이 조금씩 눈에 익기 시작했고 또 천천히 걸으면서 살펴본 덕분인지 백로와 왜가리 외에 다른 새들도 많이 만날 수 있었어요 :)
특히 검은댕기해오라기를 발견하고 정말 기뻤답니다!
야장 쓰기, 맵핑하기, 사진 찍기 등 시민과학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꽤나 능숙해졌어요.
과연 저희의 데이터가 어떻게 의미있는 연구결과로 탄생할지 앞으로도 많은 관심 부탁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