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공모선정위원회 최종 결정내용을 공유해드리오니 지원사업 준비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상,하반기 나눠서 공모는 상반기에 단체들의 계획이 집중되어 있고 하반기 수요는 예측이 어려우므로 2024년과 동일하게 3월 공모 1회로 추진하되, 2024년보다 지원 요청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2024년 대비 지원 신청이 많은 경우 이사회에 추가 지원예산을 요청하고 추가지원을 진행할 경우 상반기에 진행한다.
2. 1-2개의 단위사업의 진행을 위한 소액 지원 사업비의 요구가 많아 사업비 지원 하한선을 '2024년 1천만원에서 500만원으로 조정한다.
3. 사업계획서와 정산 보고서 작성에 매몰되지 않도록 2025년에는 현장방문을 통한 내용 공유를 중점 추진하고 사업비 일괄지원 방식에서 중간 점검 후 잔여사업비 지원방식으로 추진한다.
4. 2024년 계획대비 활동, 의무사항 이행이 우수한 3개 단체 '생명평화탈핵순례단, 대전환경운동연합, 기후변화교육연구센터'는 2024년과 동일한 사업비내에서 2025년 사업신청시 발표심사까지 면제한다.
5. 중,장기 사업의 경우 사업의 지원규모가 크나 2024년 최초 실행 후 사업의 성과가 부족한 곳이 많아 2025년 공모시 다각적인 심사가 필요하며, 과도기적인 특성을 감안하되 매년 동일내용의 중복성 행사 사업은 중,장기 사업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6. 2024년에 실시한 지정공모와 단체,네트워크 분야의 구분은 폐지하고 2025년 지원 단체는 동일한 기준으로 접수하고 심사할 수 있도록 한다.
3. 사업계획서와 정산 보고서 작성에 매몰되지 않도록 2025년에는 현장방문을 통한 내용 공유를 중점 추진하고 사업비 일괄지원 방식에서 중간 점검 후 잔여사업비 지원방식으로 추진한다.
4. 2024년 계획대비 활동, 의무사항 이행이 우수한 3개 단체 '생명평화탈핵순례단, 대전환경운동연합, 기후변화교육연구센터'는 2024년과 동일한 사업비내에서 2025년 사업신청시 발표심사까지 면제한다.
5. 중,장기 사업의 경우 사업의 지원규모가 크나 2024년 최초 실행 후 사업의 성과가 부족한 곳이 많아 2025년 공모시 다각적인 심사가 필요하며, 과도기적인 특성을 감안하되 매년 동일내용의 중복성 행사 사업은 중,장기 사업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6. 2024년에 실시한 지정공모와 단체,네트워크 분야의 구분은 폐지하고 2025년 지원 단체는 동일한 기준으로 접수하고 심사할 수 있도록 한다.
7. 공정하고 객관적인 심사와 현장점검 등을 위해 위원 2명을 위촉을 추가 추천한다.
8. 2025년 심사는 심사시간과 범위를 늘리기 위해 3월 24,25일 양일간 실시한다.